본문 바로가기

사성제3

사성제와 삼법인을 제대로 알려면 한자 번역이전의 팔리어 두카(duhkha)의 뜻을 제대로 볼 줄 알아야 한다 이 법(法)은 내가 지은 것도 아니며, 다른 존재가 지은 것도 아니다. 이것은 영원히 존재하는 법칙으로 나는 오직 이것을 발견했을 뿐이며, 나는 이 법을 깨달아 여래가 되었다. 모든 것들은 변화하고 운동하는 과정인 연기(緣起) 속에서만 존재한다 - 석가모니 불교는 비관주의나 염세주의가 아니다 두카(duhkha) 괴로움이란 어원에 오해 ※ 불교를 처음 공부할 때는 석가모니가 말하는 연기(緣起)와 중도(中道), 반야(般若)를 다 같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후에 대승불교 사상에서 나오는 공(空) 사상도 같은 뜻으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불교의 '삼법인'이라는 사상에서는 '일체개고(一切皆苦)'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것이 괴로움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곤 합니다 자칫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불교가 .. 2024. 5. 28.
방대한 불교교리의 핵심 사성제와 팔정도 방대한 불교교리의 핵심 사성제와 팔정도불교교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도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문장이 너무 호환한 까닭에 평생 공부만 하는 스님이나 학자가 아닌 이상 일반인들은 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불교가 2600년 속에서 역사를 이어가는 동안 초기불교인 팔리어나 산스크리트, 한자로 쓰여진 경전을 보게 되면 한국어를 쓰는 우리 입장에서는 그 의미를 분명하게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복잡한 사상을 이해하는 최고의 방법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끝없이 나오는 불교용어들의 시작을 찾아가는 것입니다원시불교가 시작되었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서 과연 부처님이 최초로 설법하신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의 깨달음과 범천의 지극한 간청부처님이 보리수나무아래서 '무상정등각'을 증득한 것은 연기의 도리를 보았기.. 2024. 5. 23.
불교의 태동 힌두교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의 다음단계 불교가 탄생한 배경 힌두교에서는 우주자아 브라흐만(Brahman)이 있고 개별자아 아트만(Atman)이 있는데 이 개별자아인 영혼(soul)에 업(karma)이 붙어있어서 계속 몸을 바꾸며 윤회한다고 믿습니다 몸은 죽어도 이 아트만은 죽지 않으니, 힌두교의 경전인 바가바드기타에서는 이 아트만을 '영원불멸하며, 칼로도 벨 수 없고, 불로도 태울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개별자아인 아트만이 사실 브라흐마(창조주)의 분신이므로 본질이 같기에 수행을 하여 카르마를 정화시키면 아트만이 다시 브라흐만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사실 '나'인 아트만과 '세상'인 브라흐마가 하나라는 의미가 '범아일여(梵我一如)'사상인것입니다. '나'가 명상 같은 수행을 통해 '참나'를 찾으면 '나'와 '남', '나'.. 2023. 8. 9.
반응형